"산불 발생 시 계곡으로 피하면 안된다"
● 산불 시 계곡으로 피하면 안 되는 이유 (주의!)
1. 불길이 계곡을 타고 빠르게 번질 수 있음
- 산불은 바람을 따라 이동하는데, 계곡은 바람길 역할을 해서 불이 더 빨리 내려올 수 있어.
- 실제로 산불이 시작되면 위에서 아래로, 특히 계곡 방향으로 확산되는 경우가 많아 위험함.
2. 연기와 열이 계곡에 갇히기 쉬움
- 계곡은 지형상 공기가 정체되기 쉬워서, 유독가스나 뜨거운 공기가 머무를 수 있어.
- 연기를 마시면 판단력 저하나 질식 위험까지 있음.
3. 탈출로가 막히기 쉬움
- 계곡은 양쪽이 절벽처럼 막혀 있는 경우가 많아서, 불이 다가오면 빠져나오기 어려워짐.
◎산불 시 이렇게 행동해요!
상황 대처법
산속에서 불을 발견한 경우 | 바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높은 지대를 피함 |
길이 막힌 경우 | 도로, 바위, 물가처럼 불이 잘 번지지 않는 곳으로 이동 |
연기를 많이 마신 경우 | 낮은 자세로 이동해 연기를 피하고, 천 등으로 입·코를 가리기 |
불이 아주 가까운 경우 | 옷이나 천을 물에 적셔서 몸을 보호하고, 낮은 지역 평지로 대피 |
이번 경북에서 일어난산불은
3월 22일 의성군에서 시작되어 안동시, 영양군, 청송군, 영덕군 등 5개 시·군으로 확산되었으며,
약 149시간 만에 주불이 진화되었습니다.
피해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산림 피해 면적: 약 45,157헥타르로, 역대 최대 규모의 산불 피해를 기록했습니다.
- 인명 피해: 현재까지 24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- 재산 피해: 주택 등 시설물 2,412곳이 소실되었으며, 피해액은 약 8,000억 원으로 추정되며, 최종적으로는 1조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
경상북도는 신속한 피해 복구와 주민 지원을 위해 특별법 제정과 예산 지원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하고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:
★결론★
"산불 때 계곡으로 피하면 된다"는 잘못된 상식. → 계곡은 오히려 불길이 몰리는 방향이기 때문에 피해야 할 장소입니다.
'사회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한민국 사망자 순위 (25) | 2025.04.07 |
---|---|
틱톡 미국에 사업권 매각 ? (12) | 2025.04.05 |
윤석열 파면 연예계 반응 (14) | 2025.04.04 |
2025년 주목받는 트랜드와 키워드 (14) | 2025.04.04 |
2025년 4월 경제전망과 부각 될 이슈 (10) | 2025.03.31 |